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안5

[DLP] 소만사 Privacy-i 이란? 소만사는 데이터 유출 방지(DLP) 솔루션 분야에서 엔드포인트와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통합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과 특징을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1. 엔드포인트 DLP 솔루션: Privacy-iPrivacy-i는 윈도우와 맥 OS 기반 PC에서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는 엔드포인트 DLP 솔루션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개인정보 유출 차단: USB, 프린터, CD/DVD, Wi-Fi/Bluetooth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데이터 유출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합니다.개인정보 검색 및 관리: PC 내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암호화 또는 삭제 등의 조치를 통해 안전하게 관리합니다.다양한 OS 지원: 윈도우뿐만 아니라 맥 OS까지 지원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안.. 2024. 12. 23.
[DLP] 오피스키퍼 소개 !! 🆗13,000개 고객사가 선택한 통합PC보안 오피스키퍼 ✅보안 어렵지 않아요,보안가이드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보안가이드 살펴보기 → 📘 ✅편한 시간에, 오피스키퍼 전문상담을 받아보세요.상담 예약 하기 → ⏰ 📌오피스키퍼 제안 배경 💀 보안위협 보안 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전 직원/현 직원 등 관계자에의해 연구노트, 프로그래밍 파일 등 기업의 중요 정보가USB, E-mail, 서면 자료 복사 및 절취을 활용하여유출하는 양상을 띕니다.        📌오피스키퍼가 필요한 이유      회사 보안 위험 진단     ☑️대외비 파일을 개인 USB로 복사/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를 암호화 하지 않고 PC에 저장한다.     ☑️직원과 카카오톡으로 거래처 정보를 공유한다.    .. 2024. 12. 23.
[DLP] 오피스키퍼(OfficeKeeper) 이란? **오피스키퍼(OfficeKeeper)**는 기업의 정보 유출 방지와 보안 관리를 위한 통합 PC 보안 솔루션입니다. 다양한 보안 기능을 하나의 에이전트로 제공하여 기업의 자산 보호와 업무 생산성 향상을 지원합니다.  1. 주요 기능오피스키퍼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주요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정보유출방지(DLP):이동식 저장매체 차단: USB, 외장하드, 스마트폰, CD-ROM 등을 통한 무단 데이터 반출을 차단합니다.인터넷 파일첨부 차단: 이메일, 클라우드, 웹브라우저 등을 통한 파일 첨부를 제어하여 민감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합니다.소프트웨어 파일반출 차단: 메신저, 원격제어, 웹하드 등을 통한 파일 반출을 통제합니다.무선 인터넷 접속 차단: WiFi, Bluetooth 등을 통한 비인가 인터넷 접.. 2024. 12. 20.
[DLP] Data Loss Prevention - 데이터 유출 방지란? DLP(Data Loss Prevention, 데이터 유출 방지)란?DLP는 조직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데이터가 허가 없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주로 기업, 공공기관 등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조직에서 사용됩니다.1. DLP의 목적데이터 보호:조직 내부의 민감한 정보(고객 정보, 재무 데이터, 지적 재산 등)를 보호.규제 준수:GDPR, HIPAA, PCI-DSS 등 법적/규제 요구사항을 충족.내부 위협 방지:내부 직원이나 파트너의 의도적 혹은 실수로 인한 데이터 유출 방지.외부 공격 대응: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에 의한 데이터 유출 차단.2. DLP의 주요 기능데이터 식별 및 분류:데이터의 민감도 및 중요도에 따라 자동으로 식별하고 분류.텍스트, 이미지, 파일 형식.. 2024. 12. 20.
[보안이슈]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Drive-by Download) 란?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 Download)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 Download)는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악성코드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되거나 실행되는 사이버 공격 기법입니다. 주로 악성 웹사이트 방문, 감염된 광고, 취약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생합니다.1.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란?정의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거나 동의하지 않아도 악성코드가 시스템에 다운로드 또는 실행되는 공격 기법.주로 브라우저, 플러그인, 운영 체제의 취약점을 악용.목적피해자의 시스템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제어 권한을 탈취.랜섬웨어, 스파이웨어, 키로거 등 악성 소프트웨어를 실행.특징사용자 개입 없이 발생.감염은 빠르고 눈에 띄지 않게 이루어짐.2.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의 동작.. 2024. 12. 19.
반응형